2019-03-27

프로그래머스 강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3 link

14강. 큐(Queues)

queues structure
큐는 Stack과 달리 선입선출(FIFO; First-In First-Out) 의 순서로 제어됩니다. 리스트 속에 데이터들의 시작과 끝의 포인터가 존재합니다. 입력(enqueue)시, 리스트의 rear pointer에 추가되며 출력(dequeue)시, 리스트의 front pointer 부분을 꺼내게 됩니다.

실습

목표: 배열과 양방향 연결 리스트 구현시, 연산 복잡도 확인

배열 - 출력시, 모든 개체의 위치를 옮기는 과정에서 O(n) 가 소요
양뱡향 연결 리스트 - 포인터만 변경하게 됨으로 O(1) 소요

15강. 환형 큐(Circular Queue)

circular queues structure
dequeue 과정에서 발생한 front pointer 앞의 공간을 재사용하지 못하는 큐의 단점을 개선하여 리스트의 시작과 끝을 이음으로써 재사용 가능

실습

목표: 환형큐의 enqueue, dequeue, peek 구조를 구현

범위가 제한된 배열을 환형으로 이어서 쓴다는점을 감안하여 배열의 끝과 처음을 연속적으로 사용

16강.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s)

FIFO 의 특성을 가진 일반적인 큐와 달리 우선순위에 따라 enqueue나 , dequeue의 대상이 선택되는 방식.

실습

목표: 양방향 리스트를 통해 enqueue할 때, 순차검색을 통해 일치하는 위치에 넣는 방식 사용, data의 값이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

enqueue => O(n), dequeue = O(1)
트리구조 사용시 더 유용하나 다음 과정에 진행, 퀵정렬과 비슷한 느낌일것으로 예상

17강. 트리(Trees)

tree data structure
트리의 각 노드를 정해진 순서로 방문하는 것, 순회 (traversal) 연산.

  • 깊이 우선 순회 (DFT; Depth First Traversal)
  • 넓이 우선 순회 (BFT; Breadth First Traversal)

DFT (Depth First Traversal) vs DFS (Depth First Search)? link

  1. DFT는 DFS를 사용합니다.
  2. DFS가 연결된 그래프에 적용되는 알고리즘 인 반면, DFT는 일반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그래프에 적용되는 순회입니다.
  3. DFS는 DFT가 수행하는 동안 각각의 모든 노드를 방문 할 것이라고 보증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같은것이라 보아도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두 용어 모두, 그래프 또는 트리 (모든 트리는 또한 그래프이기도 합니다) 를 대상으로 노드들을 방문하는 순서를 규정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근데 tree보단 root모양인데 왜 그렇게 굳어진걸까?

18강. 이진 트리(Binary Trees)

모든 노드의 자식노드; 차수가 2 이하인 트리구조

깊이 우선 순회(DFT; Depth First Traversal)

  • 중위 순회 (in-order traverasl):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한 뒤 노드 x 를 방문, 그리고 나서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
  • 전위 순회 (pre-order traversal): 노드 x 를 방문한 후에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 마지막으로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
  • 후위 순회 (post-order traversal):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노드 x 를 방문

실습 1

목표: 이진트리의 depth 값 계산하는 기능 구현

class Node:
 # 초기화 & size()
 
    def depth(self):
        # 재귀적으로 호출하며 단말노드 부터 체크
        l = self.left.depth() if self.left else 0
        r = self.right.depth() if self.right else 0
        # l 과 r 변수에 좌우 노드의 깊이값 저장
        return (l if l > r else r) + 1
        
class BinaryTree:
 # 초기화 & size()
 
    def depth(self):
        # 루트값 유무 확인
        if self.root:
            # root node 부터 depth 확인절차 진행
            return self.root.depth()
        else:
            return 0

실습 2, 3 - 깊이 우선 순회(DFT; Depth First Traversal)

목표: 이진트리의 전위순회, 후위순회 연산 기능 구현

class Node:
 # 초기화 & inorder()
 
 def preorder(self):
        traversal = []
        traversal.append(self.data)
        if self.left:
            traversal += self.left.preorder()
        if self.right:
            traversal += self.right.preorder()
        return traversal
    def postorder(self):
        traversal = []
        if self.left:
            traversal += self.left.postorder()
        if self.right:
            traversal += self.right.postorder()
        traversal.append(self.data)
        return traversal

class BinaryTree:
 # 초기화 & inorder()
 
    def preorder(self):
        if self.root:
            return self.root.preorder()
        else:
            return []
    def postorder(self):
        if self.root:
            return self.root.postorder()
        else:
            return []

19강 이진 트리 - 넓이 우선 순회(BFT; Breadth First Traversal)

BFT는 트리 구조에서 낮은 level 중 왼쪽 노드부터 순회하게 됩니다. 이로써 DFT와 달리 재귀적으로 구현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Queue를 사용하여 다음에 방문할 노드를 enqueue 해두고 dequeue 하게되면 각각의 level별로 노드를 순회하게 됩니다.

실습

목표: 넓이 우선 순회 기능을 구현

    def bft(self):
        traversal = []
        queue = ArrayQueue()

  # root 존재여부 확인
        if self.root:
            queue.enqueue(self.root)

  # 하위 노드를 queue에 추가하며 노드의 값을 저장
        while not queue.isEmpty():
            node = queue.dequeue()
            traversal.append(node.data)
            if node.left:
                queue.enqueue(node.left)
            if node.right:
                queue.enqueue(node.right)

        return traversal

20강. 이진 탐색 트리(Bianry Search Trees) (1)

binary search tree

시간복잡도

  1. Search Operation - O(n)
  2. Insertion Operation - O(1)
  3. Deletion Operation - O(n)

퀵정렬의 알고리즘을 트리의 형태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실습

목표: BST 에 insert 기능을 구현

    def insert(self, key, data):
     # 키 중복시 예외
        if self.key is key:
            raise KeyError('inserted key is duplicated')

        # key의 비중 확인
        if self.key > key:
            # 하위노드 존재여부 대응
            if self.left:
                self.left.insert(key, data)
            else:
                self.left = Node(key, data)
        elif self.key < key:
            if self.right:
                self.right.insert(key, data)
            else:
                self.right = Node(key, data)
                
        return True

21강.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s) (2)

트리노드 삭제시 고려사항 참조

  1. 하위노드 X
    zero chilid
  2. 1개의 하위노드
    one chilid
  3. 2개의 하위노드
    two chilid

3번을 처리하며 1, 2의 과정 모두 처리가능

def remove(self, key):
    node, parent = self.lookup(key)

    if node:
        nChildren = node.countChildren()
        
        if nChildren is 0: #하위노드 0개
            if parent:
                if node.key is parent.left.key:
                    parent.left = None
                else:
                    parent.right = None
            else:
                self.root = None
            
        elif nChildren is 1: #하위노드 1개
            childNode = None
            if node.left:
                childNode = node.left
            else:
                childNode = node.right
                
            if parent:
                if node.key is parent.left.key:
                    parent.left = childNode
                else:
                    parent.right = childNode
            else:
                self.root = childNode
                
        else: #하위노드 2개
            parent = node
            successor = node.right
            while successor.left:
                parent = successor
                successor = successor.left
                
            node.key = successor.key
            node.data = successor.data
            
            if successor.key is parent.left.key:
                parent.left = successor.right
            else:
                parent.right = successor.right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22강. 힙(Heaps)

힙 (heap) 도 이진 트리의 한 종류이며 이진 힙 (binary heap) 이라고도 불립니다.

힙에는 최대 힙 (max heap) 과 최소 힙 (min heap) 이 있습니다. 최대 힙과 최소 힙은 데이터 원소의 순서 기준이 내림차순이냐 오름차순이냐만 달라지고 완전히 대칭이므로, 여기에서는 최대 힙을 기준으로 설명을 전개하겠습니다. 최대 힙은 세 가지의 성질을 유지하고 있는 이진 트리입니다. 그 세 가지 성질은:

  • 루트 노드가 항상 최댓값을 가진다.
  • 완전 이진 트리이다. (최하위 레벨을 제외하고 모든 레벨이 차있는 상태)
  • 최대 힙 내의 임의의 노드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 또한 최대 힙이다.

완전이진트리의 제약조건으로 인해 log(n)에 비례하는 실행시간을 가짐

배열을 이용해 이진트리 표현시 index 는
*노드 번호 n 기준

  • 상위 : m // 2
  • 좌측 하위: 2 * n
  • 우측 하위: 2 * n + 1

실습

목표: 새로운 노드 추가

    def insert(self, item):
        self.data.append(item)
        index = len(self.data)-1
        
        while index > 1:
            if(self.data[index] > self.data[index // 2]):
             # 아래 방법으로도 손쉽게 값 교환을 할 수 있었다.
             # self.data[index], self.data[index // 2] = self.data[index // 2], self.data[index]
                self.data[index] = self.data[index // 2]
                self.data[index // 2] = item
                index = index // 2
            else:
                break

23강. 힙(Heaps) (2)

최대 힙에서의 삭제. logn의 복잡도

  1. 루트노드의 제거 (루트노드에 최대값이 위치)
  2. 트리의 마지막 노드를 루트노드로 이동
  3. 양쪽 자식노드보다 작을때 까지 서로 값을 교환 (자식노드 중 둘다 클경우 더 큰쪽으로)

최대/최소 힙의 응용

우선 순위 큐 (priority queue)
삽입(enqueue)시, 느슨한 정렬(=반정렬; 큰값이 상위, 작은값이 하위에 있음)을 이루고 있도록 함. O(logn) 의 복잡도
출력(dequeue)시, 최대값을 순서대로 추출. O(logn) 의 복잡도

힙 정렬 (heap sort)
정렬되지 않은 원소를 최대힙에 삽입, O(logn) X 힙이 빌때까지 삭제순으로 정렬, O(logn) = O(nlogn)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